본문 바로가기
취미/어플 후기

대학생들을 위한 RISS, dbpia 활용법

by 취미와 문화 2020. 12.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학생으로서 매일같이 들어가야 하는 RISS, dbpia 사이트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RISS라는 이름의 의미는 중요치 않고, 어떻게 들어가고 어떻게 활용할지가 중요하겠죠?

 

   일단 RISS 사이트에 들어가봅니다.

"으음, 아무래도 잘 모르겠다. 어떻게 해야하는거지?"

그래서 여기까지 들어가놓고, 다시 나와 네이버 지식백과로 돌아가는 사람들을 다수 봤습니다. 노우!! 이공계 학생들이야 영어논문이 허다하니 그럴 수 있어도, 인문계는 결코 그래서는 안 됩니다! 매우 부끄러운 일이죠!

1. 일단 우리가 해야 할 것은 각자 다니고 있는 도서관 사이트에 가입하는 것입니다. 아마 대학에 들어가면 가입은 되어 있겠지만, 도서관마다 도서관 사용 교육을 이수하도록 시킬 겁니다. 도서관 사이트에 들어가서 해당되는 교육을 이수한 후에, 본격적으로 조별과제를 준비해보도록 합시다.

2. 우리 조에서 조사해야 할 주제가 (운 없게도) '비트겐슈타인'이 되었다고 칩시다. 그렇다면 일단 관련 자료를 찾기 위해서는 '비트겐슈타인'을 검색해보아야 되겠죠. 

   대개 학교 도서관 사이트들을 들어가보면, 분명히 도서관용 검색창이 있습니다. 그 검색창에 '비트겐슈타인' 검색! 검색 후에는 riss에서 제공하는 논문들을 찾아, 그 링크를 들어가 봅니다.

3. 저는 [비트겐슈타인과 치유의 철학 : ~] 이런 논문 이름을 클릭했더니, 이렇게 riss 사이트로 넘어오게 되었군요. 이 때의 주소창을 주목해주세요! 'riss.kr.libproxy ~'로 시작하는 주소창이 잘 뜬다면, 이건 도서관 사이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들어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만약 이렇게 'riss.kr/~' 이렇게 바로 나오게 된다면, 이것은 도서관 사이트와 관계없이 들어왔다는 뜻입니다. 편의상 도서관 사이트를 통해 접속하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dbpia는 자체적으로 사이트 인증이 가능하지만, 사이트에 따라 도서관 인증이 되는 방법은 다르니 미리 도서관 사이트를 통해 접속합시다.

 

5. 어쨌건 [비트겐슈타인~] 이 논문의 원문을 보려면 하단의 [원문보기] 란을 클릭해야 합니다. 이 [원문보기] 메뉴를 통해 riss에 연결된 학술논문 사이트들로 연결되거나, ezpdf 형식으로 riss 자체에서 가지고 있는 논문으로 연결됩니다.

 

6. 이 논문은 dbpia라는 논문 사이트에서 제공되니, 그쪽으로 연결이 되었습니다. dbpia에서 다시 [다운로드] 단추를 클릭하면, 논문 다운로드가 시작됩니다.

 

7. [비트겐슈타인~] 논문 다운로드에 성공했습니다.

 

8. dbpia는 자체적으로 기관인증이 가능하다고 했죠? 굳이 대학교 도서관이 아니더라도, 지역에 있는 '협약도서관'(국립이면 대개 협약임)에 아이디가 있을 경우에, 기관인증이 가능해서 논문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9. 만약 기관인증이 안 되었을 경우에는, 논문을 구매하지 않으면 열람할 수 없습니다. 각 논문들의 가격이 대단히 비싸니, 대학교에 소속된 그 특혜를 잘 뽑아먹어야 합니다.

이렇게 논문사이트 riss와 dbpia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몇 번 하다보면 매우 쉽습니다. 그러나 대학에 있으면서 논문사이트 한 번 안 들어간 학생들이 매우 많습니다. 사실 그건 참 안타까운 일입니다. 대학에서 제공하는 막대한 혜택 중 하나가 도서관사이트를 통해 다양한 논문자료를 얻을 수 있다는 건데 말이에요.

 어쨌건 조별과제 때 고생했던 기억이 여럿 스쳐지나가서 그런지, 감정적인 소개글이 되었네요. 흑흑.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