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역사교육론

[역사교육론 정리노트] 2. 교수학습(5) -

by 취미와 문화 2020. 11. 14.
반응형

[수업내용에 따른 수업 유형]

1. 인물 중심 역사학습

  1) 인물학습 : 역사적 인물의 생애, 인간상, 생몰년, 의지, 고뇌 등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 가치관이나 인생관 등을 파악하는 순수한 인간 탐구에 그 목적을 두고 있는 학습이다. 단지 인물학습은 역사적 접근 아니라 통합적인 접근 방식으로서, 역사이해를 목적으로 한다기보다는 인물을 통한 윤리 교육에 사용한다. 

  2) 행위결정분석모형을 사용하는 인물사 학습 : 인물의 행위결정분석모형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특정한 행위를 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적으로 추론함으로써, 그 인물의 역사적 해위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인물의 행위결정분석 모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인물의 관점에서 그가 달성하고자 했던 목적, 그가 처한 상황, 여러 갈래의 수단들을 상상할 수 있도록 수업을 구조화해야 한다. 즉, 옛 과거의 성인의 경험과 행위를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학생 수준의 선경험을 통해 유추를 할 수 있도록 교사가 도와야 한다.

   교사는 학생들이 행위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고려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즉, 인물의 개인적성향이나 상황적 조건, 의도, 동기 등을 편향되지 않게 검토할 수 있게 하며, 개인의 개성이나 성향 뿐만 아니라 시대적 상황도 고려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행위결정분석 모형은, 특정 역사 상황 속에서 인물이 행위를 하기 위해 고려했던 점을 생각해보며 시대 배경을 이해하고, 행위 의도, 전개과정, 결과 등을 탐구하는 능력을 배양하며, 역사 속에서 인간 행위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다. 그리고 인물 행위의 옳고 그름보다는 역사적 행위의 이해를 할 수 있으며, 역사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평가할 수 있는 것이다. 

  3) 역사탐구방법 학습으로서 인물의 일생, 전기, 자서전 활용 : 인물을 통해 당시 역사의 방법을 교수학습하기 위해 일생, 전기, 자서전을 활용할 수 있다. 한 인물의 삶에도 연대기가 있어 연대기적 사고를 가르칠 수 있고, 삶의 전환기를 다루면서 역사 변화와 원동력을 가르칠 수 있고, 한 인물이 관여한 사건을 분석하면서 역사 해석 방법을 가르칠 수 있다. 즉 한 인물의 일생을 통해 - 역사의 본질, 역사 탐구방법을 가르치는 것이다. 

  4) 인물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정신세계와 문화 이해하는 방법 : 역사인물이 현재 우리와 다른 가치관과 생활방식을 지닌 것을 이해하고, 인물의 여러 상황과 환경들도 구체적으로 조사해야 인물을 통해 당시 시대 및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사 인물이 남겨놓은 여러 증거를 통해 당시 사람들 전반의 정신세계를 이해하고, 문화에 대해 이해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2. 개념학습

녹색책 10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