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론 정리노트] 1. 이론(7) - 영일론, 영고론
[피아제 인지발달론] 1. 피아제 이론의 조명 1) 브루너 : 1957년 소련 스푸트니크호 발사로 미국이 충격을 받고, 실질적으로 지적 능력을 끌어올려야겠다는 이론이 주목을 받는데, 그것이 바로 피아제의 이론이었다. 그래서 브루너의 나선형교육과정 개념이 그것을 받아들여 정리되었으며, 지식의 구조와 개념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고심하게 되었다. 즉, 아이들 수준에 맞게, 즉 직접 해보는 작동적 방법, 눈으로 보는 영상적 방법, 언어적 추상적으로 전달하는 상징적 방법으로 교육과정을 꾸리는 아이디어를 받아들인 것이다. 2) 필 : 필을 이해하는데 핵심적인 문구가 바로 기술(디스크립션), 설명(익스플레네이션)이다. 디스크립션은 묘사로서, 특별한 사고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기술은 경험이나 개념의 ..
2020. 11. 11.
[역사교육론 정리노트] 1. 이론(5) - 일반적 설명과 과학적 설명
[일반적 설명] 감정이입과 추체험이 인간의 내면에 대한 이해에 관련있다면, 이해하지 못한 개념과 용어의 의미를 알기 쉽게 해설하여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이 바로 설명이다. [절대왕정이란 무엇인가? 절대왕정이란~이다. 절대왕정의 요소로는 관료제, 상비군, 중상주의 등이 있다.] 이런 사례와 같이, 역사에는 학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추상적 개념이나 용어가 많기 때문에 설명이 필요한 것이다. 설명이 부족하면, 개념과 용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지고, 역사학습은 그저 추상적인 용어의 나열에 불과하게 된다. 고로 개념과 용어의 설명은 역사적 설명의 기본적인 방법이다. [호족, 양반세력, 절대주의 같은 구체적 사실과 관련된 개념], [문화, 가치, 권력, 불경기 같은 사회과학적 개념], [변화, 발전, 인과 같은 역..
2020. 11. 10.
[역사교육론 정리노트] 1. 이론(3) - 역사연구사와 역사교육
[역사연구사] 1. 실증주의 19세기 후반 유럽에서 고문서 연구학, 연대학, 고문 판독학, 금석학 등 보조과학이 발달하게 되었다. 이로써 사료의 외적 비판이 가능해졌기에, 과학적 담론과 문학적 담론이 구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래서 과학으로서의 역사가 독립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과학적 역사학은 민족논리의 근거를 제공하였기에, 민족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적극 활용되었다. 그런 풍조 속에 랑케 실증주의가 시작된 것인데, 이는 낭만주의, 실증주의, 역사주의가 혼합되어 나타난 것이다. 랑케는 사료에 대한 검증과 비판을 중시하였는데, 문제는 구조와 법칙에 대해서는 소홀했다. 랑케는 공적 문헌사료를 강조했는데, 그에 적혀있는 정치, 제도사에 중점이 두어졌다. 사료의 일관성을 교차분석을 하여 다른 사료와의 [..
2020. 10. 29.